한동안 침체 국면을 겪었던 국내 건설업계가 본격적인 회복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는 기대감이 커진다. > 묻고답하기

menu_tlt_mo_01.jpg

묻고답하기

한동안 침체 국면을 겪었던 국내 건설업계가 본격적인 회복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는 기대감이 커진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dodo (121.♡.101.159) 작성일25-08-03 07:49 조회41회 댓글0건

본문

한동안 침체 국면을 겪었던 국내 건설업계가 본격적인 회복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는 기대감이 커진다. 특히 도시정비 사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 기조와 주요 건설사들의 사업 전략이 맞물리며 중장기 실적 개선에 대한 전망이 밝아진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주요 건설사들이 도시정비 시장을 중심으로 실적 개선에 속도를 내고 있다. 올 상반기 수주금액이 가장 높은 건설사는 현대건설이다. 현대건설은 올 상반기에만 13조5086억원의 신규수주를 따냈다. 올해 현대건설 연간 수주목표인 17조5000억원의 77%이상 채운 셈이다. 현대건설의 주요 수주로는 구리 수택동 재개발(2조8069억원)과 개포주공 6·7단지 아파트 재건축(1조5138억원), 부산 연산5구역 재건축(1조4447억원) 등이 대규모 도시 정비사업이 주를 이루고 있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올해 상반기 도시정비사업에서만 5조7195억원이 넘는 신규수주를 달성했다. 삼성물산의 올해 수주 실적을 보면 우선 서울 용산구 한남4구역 주택재개발(1조6000억원)사업이 있다. 지난 3월에는 서울 서초구 신반포4차 아파트 재건축(1조310억원) 시공사로 선정됐다.또 서울 성북구 장위8구역 재개발사업 시공사로 선정됐다. 공사비는 약 1조1945억원 규모다. 현대건설은 상반기까지 5조5358억원을 수주했다. 이는 지난해 실적(6조612억 원) 대비 91.2%에 해당한다. 연산5구역 재건축(7657억 원), 구운1구역 재건축(3123억 원), 장위9구역 공공재개발(3502억 원), 개포주공6·7단지 재건축(1조5138억 원), 면목7구역 재개발(2920억 원), 구리 수택동 재개발(1조9648억 원), 미아 9-2구역 재건축(3370억 원) 등을 수주했다. DL이앤씨, 롯데건설, HDC현대산업개발, GS건설 등도 2조원 이상의 신규 수주를 올린 것으로 파악된다. 이 중 대부분은 주택 재개발·재건축 등 도시정비사업이 차지했다. 재개발·재건축 등 도시정비 사업은 사업 규모가 크고 사업지 대부분이 서울 및 수도권에 집중돼 있어 브랜드 인지도와 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알짜' 사업으로 평가된다. 신규 택지가 점점 줄어드는 상황에서 정비사업은 사실상 마지막 대규모 주택 공급 수단으로 꼽힌다. 이에 따라 주요 건설사들은 도시정비 사업 확대를 미래 먹거리로 설정하고 전략적으로 접근 중이다. 현대건설은 도시정비 전담 조직의 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디에이치' 브랜드를 앞세운 고급화 전략으로 시장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삼성물산은 최근 강남 개포, 용산, 한남 등 서울 핵심지 도시정비 수주전에 적극 나서고 있으며 대우건설과 롯데건설도 여의도 및 성수동 일대 재개발 사업 수주에 공을 들이고 있다. GS건설, DL이앤씨 등도 도시정비 사업 확대 기조로 앞으로의 수주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전망이다. 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건설사들의 도시정비 사업 확대와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맞물리면서 중장기 실적 회복에 대한 기대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주택 경기 둔화 우려 속에서도 도시정비 사업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기반을 제공하며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를 통해 실적 개선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올해와 내년 압구정, 개포 등 강남권을 비롯해 용산, 여의도, 목동 등 대규모 정비사업이 시공사 선정을 진행할 전망이다. 도시정비 사업은 단기적인 매출 기여보다는 3~5년 후 실적을 이끄는 핵심 기반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수주 기반이 향후 건설사들의 중장기 이익 확대에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도시정비 사업은 고급 브랜드 아파트 공급이 가능해 건설사의 브랜드 가치 제고에도 긍정적이다. 실제로 강남권, 한강변 등 인기 지역 정비사업 수주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배경에는 향후 브랜드 파워 확대를 통한 장기 성 개선 전략이 깔려 있다는 분석이다. 향후 도시정비 시장의 향방은 정책 지속성과 조합 및 지역 주민과의 협업 구조에 달려 있다. 또한 시장에서는 향후 금리 추이도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고금리 기조가 유지될 경우 조합원 분담금 증가와 사업성 악화로 인해 일부 정비사업은 지연되거나 무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경자 삼성증권 리서치센터 대체투자팀장은 "빠른 주택 공급을 위해 도시정비 사업 지원 기조를 띠며 건설사에게 수혜로 작용할 것"이라며 "주요 건설사들의 계획과 도시정비 사업 활성화 기조가 맞물리면 향후 중장기 실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용인푸르지오원클러스터 용인푸르지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